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은 안전자산이다. 비교적으로...

by Cpt.MAVERICK 2024. 6. 5.

주식시장에 작전이 있다는 것은 주식 투자하는 사람들이라면 짐작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로 인해 실제로 피해를 입은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런 주식시장이 안전하다? 상장된 주식은 회사의 의사결정과 변동 사항을 공시해야 합니다. 그것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떠도는 소문에도 답변을 해야 하는 것이 주식시장입니다. 게다가 금융기관이 감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암호화폐 시장은 공시 제도 자체가 없고, 관리 감독 기관조차 명확하지 않습니다. 한국의 경우 필자가 2017년부터 암호화폐를 시작했는데 7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법조차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한국도 한국이지만, 미국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투자자의 대부분은 미디어나 개발사의 소셜미디어 (트위터 X, 페이스북, 텔레그램, 카카오톡)를 통해서 정보를 듣습니다.

그런데, 투자를 받아서 운영하는 암호화폐 발생사 입장에서 서보면 본인들이 풀어야 할 문제를 투자자들에게 솔직하게 얘기를 할 것이라 생각하십니까? 물론 솔직하게 말해야 하는 것이 옳다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법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 아리라면 공개하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기업은 철저하게 이익집단이며, 자신들의 이익을 극대화하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굳이 우리 회사에 문제가 있다고 얘기해야 하는거야? 지금 얘기해야 한다는 법도 없잖아.

 

그렇기 때문에,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제대로 된 소식을 듣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런 시장 상황은 '내가 세력한테 들은 건데, A 종목이 오를 거래~'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만들어 냅니다. 소위 말하는 세력이 개인에게 자신들의 은밀한 정보를 준다는 것은 그 개인이 어떠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냐에 따라, 내용의 정확성도, 진위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진짜 정보를 줄 수도 있지만, 목적이 있어 허위 정보를 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기댈 수 있는 곳은 언론사입니다. 하지만, 아직 암호화폐는 비주류로 대형 언론사가 아닌 블록체인 전문 저널이나 유튜브 방송이 주를 이루고, 경제신문이나 전자신문 등에서 소개되는 소식에 투자자들은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언론사와 세력의 상호 공조하는 경우도 존재한다는 사실은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즉, 세력의 의도에 맞는 정보만을 다루거나, 세력의 의도에 맞추어 사실(Fact)을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기사를 이런 방향으로 잘 만들어봐. 싫어? 그럼 우리 광고 다 내리든가~

 

언론사 역시 시장 논리에 의해 세력의 입김에 따라 움직여야 하는 경우, 혹은 기자가 개인적인 이득을 위해 세력과 연합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필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한 가지 사실 혹은 사건이라도 다수 언론사의 기사를 살펴봐야 합니다. 그리고, 해당 언론사와 기자가 이전에 다루었던 기사의 신뢰도를 점검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요즘에는 기자가 과거에 썼던 기사를 손쉽게 볼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큰 노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언론사의 기사가 가짜 뉴스인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가짜 뉴스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언론사에게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실의 일부분만을 기재하는 것은 거짓이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문제라고 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사실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논조가 달라지는 것은 기자의 독립성이므로 문제 삼기 어렵습니다. 독자에 입장에선 매우 모호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기에 분별할 줄 알아야 하는 힘이 있어야 하고, 그 판단력이 형성되기 전까진 복수의 기사를 보고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트코인(BTC)가 급락했을 때, 급락의 원인을 두고 다양한 해석을 언론사에서 내놓을 것입니다. 그중 국제회계기준(IFRS)의 영향이라 해석하는 두 기사를 소개합니다.

 

[언론사 A]
지난 23일 한국회계기준원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 산하 국제회계기준(IFRS) 해석위원회가 지난 6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회의에서 가상통화 보유 시 IFRS 기준서를 어떻게 적용할지 논의한 끝에 가상통화는 금융자산으로 분류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특히 비트코인 등 가상통화는 화폐도 금융상품도 아니라는 국제 회계기준이 제시됐다. 이번 결정으로 국내에서는 가상통화의 제도권 진입이 한층 더 어려워졌다

 

[언론사 B]
지난 23일 비트코인 등 가상통화는 화폐도 금융상품도 아니라는 국제 회계기준이 나왔다.

한국회계기준원과 금융감독원은 국제회계기준 해석위원회가 가상통화 보유 때 국제회계기준 기준서를 어떻게 적용할지 논의한 결과 금융자산으로 분류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대신, 무형자산이나 재고자산으로 분류하기로 결론을 내렸다.

이는 그동안 가상통화 관련 규정이 없어 국가별로 혼란을 겪어온 만큼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이 제시됐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이번 결정으로 국내에서는 가상통화의 제도권 진입이 한층 더 어려워졌고 기업의 가상통화 회계 처리나 정부의 가상통화 과세 문제에도 의미 있는 기준이 생겼다.

 

언론사 A (이하 A)가 언론사 B (이하 B)의 기사는 동일한 사실에 대해 서술하고 있습니다. 다만, A는 B의 초록색 부분을 생략했습니다. 빨간색 부분은 언론사 혹은 기자의 해석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A 기사만 본 사람과 B 기사만 본 사람의 입장이 어떨까요?

투자자 입장에서는 A 기사에 의도가 있다고 보입니다. 그렇다고, 그 기사 자체만으로는 문제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일부분을 소개하지 않았을 뿐이지, 거짓을 기사로 내보낸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자, 당신이 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다면... 그리고 적잖은 금액을 투자하고 있다면... 그 재산을 지키기 위해 해야 할 일은 무엇이겠습니까?

 

 

누군가에게 뭘 사야 되는지, 얼마에 사고팔아야 하는지 묻고 있다면... 자신이 투자를 잘하고 있는지 스스로 점검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자신을 지킬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하며 투자 주권을 지켜야 합니다.